Github blog 만들기 - 1 - Repository 만들기
내가 생각하는 GitHub Blog의 장점은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롭다는것이고
단점은 깃헙이 익숙하지 않거나, 마크다운 작성법이 익숙하지 않으면 불편하다는것이였다.
Git 사용은 익숙한데, 마크다운은 ReadMe.md 파일이나 Notion 작성할 때만 사용해서 고민이 되었는데
시간과 노력을 들이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해서 Velog가 아닌 GitHub Blog로 결정했다.
목차
GitHub Blog란?
Github Repository에 저장된 html 파일과 같은 정적 웹 문서들을
Github에서 무료로 웹에서 볼 수 있도록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Github 사용자들은 Repository에 정적 파일 업로드를 업로드하여
한 계정당 1개의 고유한 정적 웹 사이트를 가질 수 있다.
GitHub 계정이 없는 경우 GitHub에 가입하고, 계정이 있다면 로그인한다.
Repository 생성
1) 깃허브에 들어가서 왼쪽 상단의 녹색의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하여 레파지토리를 생성한다.
2) 버튼을 클릭하면 Repository 생성 페이지로 이동된다.
3) Repository name을 본인의 Github ID인 [Github ID].github.io로 설정해야한다.
Description은 생략해도 된다.
공개 범위는 초기 상태처럼 Public으로 유지한다.
4) 그리고 생성을 마무리하면 아래와 같이 Repository가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그 다음 웹 주소에 생성한 [Github ID].github.io을 입력하면 블로그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아무것도 작성한 것이 없기 때문에 404 Not Found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Local로 git clone
PC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git clone을 해야한다.
빨간색 상자 영역의 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한다.
Repository를 다운로드 받을 빈 폴더 하나를 생성한다.
지금은 폴더명을 gitblog
로 정했다.
폴더 경로창을 클릭해서 전부 지운 뒤 cmd를 입력하면 명령 프롬프트 창이 실행된다.
그리고 git clone 명령어를 통해 Repository를 가져온다.
1
$ git clone [복사한 Repository 주소]
다음에는 Jekyll 테마를 적용해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