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Github blog 만들기 - 6 - GitHub Blog 검색엔진에 등록하기


목차

  1. 검색엔진 등록 준비
  2. 구글 등록
  3. 네이버 등록
  4. 다음 등록
  5. Google Analytics 연동

검색엔진 등록 준비

1) _config.yml의 description 수정하기

description은 사이트의 메타데이터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사이트의 간단한 설명이나 소개를 나타냅니다.
description은 웹 검색 결과나 소셜 미디어에서 링크를 공유할 때, 페이지 미리보기에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검색 엔진은 웹 페이지의 메타 데이터를 사용하여 페이지의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이해하고 검색 결과에 표시합니다.
따라서 잘 작성된 description은 방문자가 검색 결과에서 해당 페이지를 클릭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SEO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description은 페이지의 내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하는데 사용되어야 합니다. 물론, SEO에는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escription만으로 SEO를 최적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2) sitemap.xml 생성하기

sitemap.xml은 웹사이트의 검색 엔진에게 사이트의 페이지 구조를 알려주는 XML 형식의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검색 엔진이 웹사이트를 크롤링할 때 어떤 페이지들이 있는지, 각 페이지의 중요도는 어떤지 등을 알려주는데 사용됩니다.
특히 SEO를 개선하고 검색 결과에서 더 잘 나타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게시물을 업로드할 때마다 매번 sitemap.xml을 업데이트해야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자동화해주는 스크립트를 통해서 sitemap.xml을 생성할 것 입니다.

sitemap.xml의 코드를 복사해서 sitemap.xml 파일을 생성하고 복사붙여넣기 하여 루트 디렉토리에 추가하면 된다.

Git에 푸시한 후 https://{GitHub Id}.github.io/sitemap.xml에 접속하면 GitHub Blog의 모든 글과 주소를 출력하는지 확인해보면 된다.

3) robots.txt 생성하기

robots.txt 파일은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위치하는 텍스트 파일로, 검색 엔진 크롤러에게 웹 페이지를 어떻게 크롤링하거나 색인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파일은 웹사이트의 특정 부분이나 파일이 검색 결과에서 제외되도록 하는 데 사용됩니다.

robots.txt의 코드를 복사해서 robots.txt 파일을 생성하고 복사붙여넣기 하여 루트 디렉토리에 추가하면 된다.

4) feed.xml 생성하기

feed.xml 파일은 주로 웹사이트의 최신 컨텐츠를 정형화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Atom 또는 RSS 피드 형식을 따르며, 웹사이트의 최신 글이나 뉴스를 구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검색 엔진은 피드를 통해 웹사이트의 구조와 최신 업데이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피드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엔진이 사이트를 더 효과적으로 색인화하고 검색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SEO의 향상을 위해서 feed.xml도 생성합니다.

feed.xml의 코드를 복사해서 feed.xml 파일을 생성하고 복사붙여넣기 하여 루트 디렉토리에 추가하면 된다.

구글 등록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합니다.
좌측은 구매한 도메인이 있는 경우, 오른쪽은 구매한 도메인이 없는 경우입니다.
저는 구매한 도메인이 없기 때문에 오른쪽을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URL에 블로그 전체 주소를 작성해줍니다.

해당 URL의 소유권을 확인합니다.
아래의 화면에서 보이는 것 처럼 google~~~.html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뒤, 루트 디렉토리에 추가하도록 합니다.

Git에 푸시하고 Build & Deploy가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계속 진행합니다
소유권이 확인되면 아래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출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며칠이 지나도 구글에서 검색이 되지 않는다면 왼쪽 탭에서 URL 검사를 클릭해서 색인 생성 요청을 클릭해보면 된다.

색인 생성이 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화면을 볼 수 있다.

네이버 등록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접속합니다.
1) 오른쪽 상단의 웹 마스터 도구를 클릭합니다.
2) 이곳에 URL을 입력해주세요.~~ 이 부분에 GitHub Blog 주소를 입력한 다음 오른쪽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3) HTML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루트 디렉토리에 추가한 다음 Git에 푸시합니다.
4) 아래의 소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자동 등록 방지 문자를 입력합니다.
6) 사이트를 클릭하여 사이트 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7) 왼쪽 탭의 요청을 클릭한 다음 RSS 제출을 클릭합니다.
8) 위에서 생성한 feed.xml URL을 입력해주고 자동 등록 방지 문자를 입력합니다.
9) 그 다음은 사이트 맵 제출을 클릭합니다.
10) 마찬가지로 위에서 생성한 sitemap.xml의 URL을 입력해주고 자동 동륵 방지 문자를 입력합니다.
11) 그 다음은 검증을 클릭한 다음 robots.txt를 클릭합니다.
12) 수집 요청 버튼을 클릭하고 robots.txt가 제대로 호출된 것을 확인합니다.
13) robots.txt 검증 부분에 본인의 GitHub Blog URL을 작성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14) 수집이 가능하다는 팝업이 발생하는데, 발생하지 않는다면 robots.txt를 제대로 생성하고 다시 시도합니다.
15) 그 다음은 검증을 클릭한 다음 URL 검사를 클릭합니다.
16) 자신의 GitHub Blog URL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17) 그럼 미수집 문서입니다. 페이지가 검색될 수 있게 수집 요청해보세요. 라고 안내가 발생한다.
18) 수집 요청 버튼을 클릭한다.
19) 요청탭의 웹 페이지 수집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집 요청 URL에 본인의 GitHub Blog URL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20) 그 다음 상단의 간단 체크를 클릭하고 본인의 GitHub Blog URL을 입력하고 자동 등록 방지 문자를 입력합니다.
21) 본인의 블로그에 어떤 설정이 잘못되었는지 체크하고 부족한 부분을 수정한다.

다음 등록

다음 검색등록에 접속합니다.
1) URL 부분에 본인의 GitHub Blog URL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신규 등록 관련 서비스 약관 동의를 작성합니다. 3) 공통정보 내용을 _config.yml 기반으로 작성합니다.

Google Analytics4 연동

Google Aanlytics에 접속합니다.
대부분의 블로그가 UA기준으로 작성되었는데, UA는 2023년 7월 1일부터 더 이상 신규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2024년 7월 1일부터 UA 인터페이스 및 API에 엑세스 할 수 없다.

아래의 단계를 따라서 진행하면 GA4연동을 진행할 수 있다.

1) 계정 설정 단계에서는 계정 이름만 작성하면 됩니다.
계정 이름은 본인이 원하는 아무거나 입력하면 됩니다.
체크를 하시거나, 해제하는 것 없이 다음 버튼 클릭하면 됩니다.

2) 속성 만들기에서 속성 이름은 본인의 GitHub Blog 주소를 https:// 포함해서 작성합니다.
보고 시간대통화대한민국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아래의 고급 옵션 보기가 있는데 클릭합니다.
이것을 설정을 해야Blog와 Google Analytics 연결이 가능합니다.

3) 그 이후 비즈니스 관련은 대충 입력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4) 이후 서비스 약관 계약이 나오는데, 동의하고 다음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5) 아래와 같이 측정ID를 G-~~~형식으로 알려줍니다.

6) 그 ID를 복사하여 _config.yml의 google_analytics에 붙여넣으면 된다.

7) 그리고 GitHub에 반영하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 수집이 활성화되었습니다.라고 안내해준다.

8) 연동 후 24시간 정도가 지나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잘 수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무리

이제까지 GitHub Blog 관련해서 설정할 수 있는 것들을 해보았습니다.
나중에 Google Adsense를 등록하게 된다면 GitHub Blog 관련해서 추가 글을 작성해보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